[믿었던 수출도 걱정] 중국은 적자행진, 신흥국 지지부진...수출 다변화 '답보'
최종수정 : 2024-04-18 05:00기사입력 : 2024-04-18 05:00김유진·최예지 기자
구독하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5.3%를 기록했으나 부동산과 내수는 여전히 침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낙수효과'가 미미한 상황에서 신흥국으로의 수출시장 다변화를 꾀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강(强)달러 여파로 원·달러 환율이 치솟고 중동발 국제 유가 불안도 이어지면서 올 들어 기지개를 켜던 우리나라 수출 전선에 적신호가 켜졌다. 특히 최대 교역국인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가시지 않아 대중 무역수지 개선에도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신흥국으로의 수출 다변화 전략은 아직 성과가 미흡해 통상 정책 전반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7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29조6299억 위안(약 5700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했다. 지난해 연간 성장률(5.2%)을 뛰어넘는 수치지만 시장의 경계심은 여전하다.

경기 침체의 주요 원인인 부동산 리스크가 지속되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1분기 부동산 개발투자는 9.5% 감소했고, 지난달 신규 주택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2.2% 하락했다.  

소비 부진도 지속되는 양상이다. 중국의 지난달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3.1% 증가했는데 전월 증가율(5.5%)을 하회한데다 시장 전망치(5.1%)도 크게 밑돌았다. 

1분기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보합세(0%)를 보였고 생산자물가지수(PPI)는 2.7% 하락했다. 전형적인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국면이다.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는 지난 14일 "화이트리스트(우량 부동산) 기준에 부합하는 부동산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자금 지원을 해 '대출할 곳에는 최대한 대출을 한다'는 원칙을 실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중국 경제 성장에 따른 주변국 낙수 효과도 반감하는 상황이다. 실제 대중 무역 현황을 보면 적자 행진이 지속되고 있다. 올 2월 17개월 만에 흑자를 기록한 뒤 지난달 다시 8억8000만 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최대 교역국 지위도 흔들린다. 올 들어 2·3월 대미 수출액은 2개월 연속 중국을 앞섰다. 지난달의 경우도 대미 수출액이 109억1000만 달러로 대중 수출(105억2000만 달러)보다 4억 달러 안팎 많았다. 한·중 경제의 '디커플링(탈동조화)'이 본격화했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대중 무역적자를 상쇄할 것으로 기대한 신흥국 공략도 답보 상태다. 실제 국내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신흥국 수출 비중은 최근 3년간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의 무역 통계시스템 'K-stat'을 보면 올해 1분기 중국·인도·베트남·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튀르키예·사우디아라비아 등 7개 신흥국 수출액은 568억 달러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체 수출액(1637억 달러)의 34.7%에 달한다. 이 비중은 2021년 41%에서 2023년 36%로 축소됐고 올 들어서도 하락세가 이어지는 형국이다.

이는 중국으로의 수출 비중이 2021년 25.3%에서 지난해 19.7%로 큰 폭 줄어든 데 따른 결과다. 올해도 비슷한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 수출액 비중은 2021년 15.7%, 2022년 16.7%, 2023년 16.5% 등으로 15~16% 수준에 그치고 있다. 

수출 다변화 전략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신흥국 수출 환경 변화가 향후 우리나라 수출 경기에 미칠 영향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신흥국 시장을 넓힐 수 있는 전략을 무역 정책과 산업 정책 차원에서 잘 수립해야 하는데 아직 불충분한 게 현실"이라며 "이제는 좀 더 실질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을 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이사대우도 "주요 신흥국별 수출 환경이 서로 다른 만큼 각국의 여건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수출 유망 분야 발굴과 적극적인 마케팅 등을 통해 수출을 촉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 아주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