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기준금리 인하 기대를 선반영해 시장금리가 하락세지만 오히려 가계대출 금리는 2개월 연속 상승세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압박에 은행들이 줄줄이 가산금리를 올린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9월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4.23%로 7월(4.08%)보다 0.15%포인트 높아졌다. 지난달에 이어 2개월 연속 상승세다.
주택담보대출이 3.51%에서 3.74%로 0.23%포인트 올랐다. 2022년 9월(0.44%) 이후 최대 폭 인상이다.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0.23%포인트,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0.04%포인트 올랐다.
전세자금대출(3.82%→4.05%), 일반신용대출(5.65%→5.87%)도 각각 0.23%포인트, 0.22%포인트 올랐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대출 금리 상승 배경에 대해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를 위한 가산금리 인상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고정형 주담대의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물은 8월과 9월 금리가 3.2%로 차이가 없었지만 고정금리는 0.23%포인트 올랐다"고 말했다. 상승분이 모두 가산금리 영향이라는 의미다.
반면 그는 변동형 금리가 고정형 금리 대비 인상 폭이 낮았던 이유와 관련해 "변동형 주담대의 지표금리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0.08%포인트 하락했다"며 "지표 금리 하락으로 변동형 금리가 고정형 금리 대비 인상 폭이 더 낮았다"고 설명했다.
금리 차별화 영향으로 고정형 주담대(96.1%→94.4%)가 줄면서 고정금리 가계대출(신규취급액 기준)의 비중 역시 68%에서 65.4%로 2.6%포인트나 줄었다.
9월엔 기업대출 금리(4.67%→4.77%)도 0.1%포인트 뛰었다. 4개월 만의 반등이다. CD(91일)와 같은 지표금리가 소폭 상승하고 일부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조정하면서 대기업 금리(4.78%→4.81%)가 0.03%포인트, 중소기업 금리(4.59%→4.74%)도 0.15%포인트 올랐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오르면서 전체 은행권 대출금리도 한 달 새 4.48%에서 4.62%로 0.14%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6월(4.71%) 이후 4개월 만의 상승 전환이다.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신규취급액 기준) 역시 연 3.40%로 7월(3.35%)보다 0.05%포인트 올랐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예금 금리(3.41%)가 0.05%p, 금융채·양도성예금증서(CD) 등 시장형 금융상품 금리(3.36%)가 0.04%포인트 각각 높아졌다.
김 팀장은 저축성 예금 금리 상승과 관련해 "연말이 다가오면서 은행들이 대규모 자금 유치에 나선 영향"이라며 "예·적금 상품들의 만기가 도래한 데다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도 연말까지 상향 조정되면서 기준(97.5%)을 맞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은행 외 금융기관들의 예금 금리(1년 만기 정기 예금·예탁금 기준)는 상호저축은행(0.09%포인트)를 제외하고 신협(-0.05%포인트), 상호금융(-0.06%포인트), 새마을금고(-0.07%포인트) 모두 하락했다.
대출금리는 상호금융(0.01%포인트)만 올랐고 나머지 저축은행(-0.65%포인트), 신협(-0.03%포인트), 새마을금고(-0.20%포인트)는 하락했다.
© 아주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주택담보대출이 3.51%에서 3.74%로 0.23%포인트 올랐다. 2022년 9월(0.44%) 이후 최대 폭 인상이다.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0.23%포인트,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0.04%포인트 올랐다.
전세자금대출(3.82%→4.05%), 일반신용대출(5.65%→5.87%)도 각각 0.23%포인트, 0.22%포인트 올랐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대출 금리 상승 배경에 대해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를 위한 가산금리 인상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고정형 주담대의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물은 8월과 9월 금리가 3.2%로 차이가 없었지만 고정금리는 0.23%포인트 올랐다"고 말했다. 상승분이 모두 가산금리 영향이라는 의미다.
반면 그는 변동형 금리가 고정형 금리 대비 인상 폭이 낮았던 이유와 관련해 "변동형 주담대의 지표금리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0.08%포인트 하락했다"며 "지표 금리 하락으로 변동형 금리가 고정형 금리 대비 인상 폭이 더 낮았다"고 설명했다.
금리 차별화 영향으로 고정형 주담대(96.1%→94.4%)가 줄면서 고정금리 가계대출(신규취급액 기준)의 비중 역시 68%에서 65.4%로 2.6%포인트나 줄었다.
9월엔 기업대출 금리(4.67%→4.77%)도 0.1%포인트 뛰었다. 4개월 만의 반등이다. CD(91일)와 같은 지표금리가 소폭 상승하고 일부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조정하면서 대기업 금리(4.78%→4.81%)가 0.03%포인트, 중소기업 금리(4.59%→4.74%)도 0.15%포인트 올랐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오르면서 전체 은행권 대출금리도 한 달 새 4.48%에서 4.62%로 0.14%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6월(4.71%) 이후 4개월 만의 상승 전환이다.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신규취급액 기준) 역시 연 3.40%로 7월(3.35%)보다 0.05%포인트 올랐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예금 금리(3.41%)가 0.05%p, 금융채·양도성예금증서(CD) 등 시장형 금융상품 금리(3.36%)가 0.04%포인트 각각 높아졌다.
김 팀장은 저축성 예금 금리 상승과 관련해 "연말이 다가오면서 은행들이 대규모 자금 유치에 나선 영향"이라며 "예·적금 상품들의 만기가 도래한 데다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도 연말까지 상향 조정되면서 기준(97.5%)을 맞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은행 외 금융기관들의 예금 금리(1년 만기 정기 예금·예탁금 기준)는 상호저축은행(0.09%포인트)를 제외하고 신협(-0.05%포인트), 상호금융(-0.06%포인트), 새마을금고(-0.07%포인트) 모두 하락했다.
대출금리는 상호금융(0.01%포인트)만 올랐고 나머지 저축은행(-0.65%포인트), 신협(-0.03%포인트), 새마을금고(-0.20%포인트)는 하락했다.
© 아주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